iperf3를 이용한 네트워크 속도 측정
해당 문서에는 docker에 iperf3을 설치하여, 타 기기에서 네트워크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먼저 Docker 레지스트리에서 iperf3을 검색한다.
networkstatic:/iperf3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
SSH에 접속하여 sudo -i로 권한을 얻는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docker run -d --name iperf3-server --network host networkstatic/iperf3 -s
-d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detached mode)--name iperf3-server
: 컨테이너 이름을iperf3-server
로 지정--network host
: 호스트 네트워크 모드 사용networkstatic/iperf3
: 사용할 Docker 이미지-s
: 서버 모드로 실행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실행됐다면, NAS에서의 설정은 끝이다.
다음은 외부망에서도 속도 측정이 가능하게, 공유기에서 5201 포트를 포트포워딩한다.
iperf 사이트에 접속하여, Windows 혹은 Android와 같이, 원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해당 문서의 경우 Windows로 진행한다.
첫 번째 링크를 클릭한다.
스크롤을 내려,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64비트로 받는다.
이후,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해제한다.
추천 경로는 C > iperf3이다.
이후 cmd를 실행한다.
이후 생성한 iperf3 경로로 진입한다.
C 드라이브의 iperf3 폴더라면, 다음 명령어로 진입할 수 있다.
cd iperf3
이후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NAS의 네트워크 속도를 측정한다.
iperf3 -c enter.your.nas.ip
위 명령어를 통해 내부망에서 측정할 수 있다.
외부망인 경우,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iperf3 -c enter.your.ddn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