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Migration Assistant

2024년 3월 4일에 진행된 DS918+ to DS3622XS+의 마이그레이션에 대해 기재한다.


먼저 두 NAS의 패키지 센터에서 Migration Assistant를 설치한다.

이후 대상 NAS (이 경우 DS3622XS+)에서 Migration Assistant를 실행하여, 원본 NAS의 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대상 NAS에는 어떠한 공유 폴더도 존재해선 안 된다.

LUN을 제거해야 하는 듯하다.

image.png

대략 4일 하고 5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2024년 3월 6일 11시 30분경, 마이그레이션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이후 무결성 검사를 위해 MD5 해시 값을 SSH를 통해 txt 파일로 생성하였다.
사용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find /volume1/"Anime 작업" /volume1/Archive-Main /volume1/docker /volume1/home /volume1/homes /volume1/Munbo-Archive /volume1/"Newbie-Chan no Archive" /volume1/Noa-Archive /volume1/Ryudo-Archive /volume1/video -type f -exec md5sum {} \; > /volume1/Archive-Main/md5sums.txt &

이를 보기 쉽게 한 화면에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nd
/volume1/"Anime 작업"
/volume1/Archive-Main
/volume1/docker
/volume1/home
/volume1/homes
/volume1/Munbo-Archive
/volume1/"Newbie-Chan no Archive"
/volume1/Noa-Archive
/volume1/Ryudo-Archive
/volume1/video
-type f -exec md5sum {} \; > /volume1/Archive-Main/md5sums.txt &

다만, DS918+은 SSH 백그라운드 작업이 정상 기능 하였지만,
DS3622XS+에서는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았기에, 가상 윈도우에서 진행하였다.

이는 수차례의 뻘짓에 의해 (volume1을 통채로 검사), 최종적으로 3월 9일에 온전히 종료되었다.

검사 결과, 일부 @로 시작하는 디렉토리와 Docker를 제외하고,
모든 일반 파일의 무결성이 유효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md5sums 1.txt (74MB)

md5sums 2.txt (74MB)

MD5 해시 값의 원본은 위와 같다.


이후, 이중 백업을 위해 Hyper Backup을 세팅하고, 기존 DS918+의 모든 볼륨을 제거하였다.

2024년 3월 10일 0시경, 증분 백업을 진행중이다.